자바카페 리액트 스터디 회고
열정적인 자바카페 리액트 스터디 그룹의 성과와 경험을 공유합니다. 기술 서적을 함께 읽고 실무 경험을 나누며 개발자로서 성장하는 여정을 되돌아봅니다.
스터디 참여자들의 소중한 회고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스터디 후기 공유하기
리액트 훅을 활용한 마이크로 상태 관리
저자: 다이시 카토
  • Zustand, Jotai, Valtio 등 인기 마이크로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 개발자
  • React 훅을 활용한 효율적인 상태 관리 기법 소개
  • 다양한 라이브러리 비교 및 실무 적용 사례 제공
  • 마이크로 프론트엔드 아키텍처에서의 상태 관리 전략 포함
스터디 참여 배경 및 목표
참여 동기
  • 새로운 상태관리 라이브러리 학습 필요성 인식
  • 실무에서 접하기 어려운 기술의 체계적 학습
  • 동기부여를 통한 기술 서적 완독 목표
주요 목표
  • 전역 상태관리 도구들의 작동 원리 이해
  • 각 라이브러리의 등장 배경과 차이점 파악
  • 실제 사용 사례와 적용 방법 학습
스터디 개요 및 특징
열정적인 참여
9명으로 시작하여 8명이 완주하는 높은 참여율과 열정을 보였습니다.
책 학습
책의 내용을 숙지하고 발표를 준비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습니다.
학습 내용 발표 및 공유
스터디 참여자들이 각자 학습한 내용을 발표하고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활발한 토론 문화
스터디 내용뿐 아니라 개발 철학 및 다양한 관점에서 질문과 토론을 활발하게 진행했습니다.
우리 스터디의 특별한 점

1

실무 경험 공유
단순 이론 학습을 넘어, 참가자 9명 모두가 실제 개발 현장에서 겪은 어려움과 해결 과정, 효과적인 코드 작성법 등을 공유하며 실질적인 학습 효과를 높였습니다. 특히, React 훅을 이용한 마이크로 상태 관리 기법에 대한 실무 경험을 공유하는 데 집중했습니다.

2

기술 트렌드 논의
React 18의 새로운 기능과 성능 개선, React 19의 최신 로드맵, 그리고 React Compiler의 활용 가능성 등 최신 개발 동향에 대한 심도 있는 토론을 통해, 멤버들의 기술적 시야를 넓히고 미래 기술 트렌드에 대한 대비를 가능하게 했습니다. 또한,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 선택 기준에 대한 다양한 관점과 의견들을 나누었습니다.
  • React 18, 19 로드맵 심층 분석
  • React Compiler 활용 방안 연구 및 토론

3

적극적 정보 교류
스터디 시간 외에도, 컨퍼런스 참석 후기, 유용한 아티클 공유, 관련 이벤트 소식, 그리고 개인적인 프로젝트 경험 등을 채널을 통해 지속적으로 공유하며, 활발한 학습 네트워크를 구축했습니다. 이를 통해 서로에게 동기 부여가 되고,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었습니다.
  • 주요 개발 컨퍼런스 정보 공유
  • 유용한 블로그 및 기술 문서 공유
  • 각자 마주한 어려움에 대한 해결책을 의논
얻은 성과와 배운 점
1
기술적 인사이트 획득
  • 상태관리의 기본 메커니즘 이해
  • 상태 저장소(store) 구현 방식
  • 상태 구독과 업데이트 흐름
  • 다양한 라이브러리의 특징과 장단점 파악
  • 모듈 기반 vs 컴포넌트 기반 상태관리의 차이
  • 각 라이브러리의 최적화 전략
2
학습 문화 형성
  • 퇴근 후 정기적인 학습 습관 형성
  • 다른 회사/팀의 개발 문화와 경험 공유
  • 기술적 토론을 통한 다양한 관점 습득
3
개인의 성장
  • 다양한 개발자들과의 네트워킹 경험
  • 새로운 도전 (블로그 시작, 링크드인 활동 등)
  • 낯가림 조금씩 극복하며 커뮤니케이션 스킬 향상
교재에 대한 평가
장점
  • 상태관리 도구의 발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설명
  • 실제 구현 코드를 통한 실습 위주의 학습
  • 각 라이브러리의 등장 배경과 문제 해결 방식을 명확히 설명
개선점
  • 전반부와 후반부의 깊이 차이가 큼
  • 일부 번역의 품질이 떨어져 이해가 어려운 부분 존재
  • 라이브러리 활용 부분이 피상적인 설명에 그침
스터디 운영 관련 피드백
잘된 점
  • 발표자 랜덤 선정으로 인한 참여도 향상
  • 실무 경험 공유를 통한 실질적 학습 효과
  • 자유로운 토론 분위기 조성
개선 제안
  • 짧은 챕터는 통합 진행으로 효율성 확보
  • 공유된 자료를 아카이빙할 공간 필요
  • 더 많은 참여자의 의견을 끌어내는 방식 고려
전체적인 소감과 향후 계획

1

구체적 성과 달성
기술 서적 완독이라는 목표를 이루어 높은 만족감 획득

2

네트워킹 경험
다양한 개발자들과의 교류를 통해 시야 확장 및 인맥 형성

3

지속적인 성장 계획
이후로도 다양한 스터디에 참여하며 개발자로서의 성장을 이어갈 계획
감사합니다!
Made with Gamma